반응형
📌 CONTENTS
- 아이의 열이 나는 원인
- 열이 났을 때 해야 할 응급 조치
-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
-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
- 열이 날 때 하면 안 되는 행동
1. 아이의 열이 나는 원인
✅ 감기 및 바이러스 감염 → 가장 흔한 원인으로, 면역 반응의 일환
✅ 예방접종 후 발열 → 일부 예방접종 후 일시적으로 열이 날 수 있음
✅ 중이염, 기관지염 등 감염성 질환 → 감염이 진행되면서 열이 동반될 수 있음
✅ 소화기 문제 → 장염 등의 증상으로 열이 동반될 수 있음
✅ 기타 원인 → 과도한 옷 착용, 실내 온도 과열 등
2. 열이 났을 때 해야 할 응급 조치
✅ 체온 측정하기
- 귀 체온계, 이마 체온계, 직장 체온계 등을 사용하여 정확한 체온 확인
- 38℃ 이상이면 발열 상태로 판단
✅ 옷을 가볍게 입히기
- 너무 두껍게 입히면 열이 더 오를 수 있음
- 가벼운 면 소재 옷으로 체온 조절
✅ 미온수 마사지
- 32~35℃의 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이마, 목, 겨드랑이, 사타구니를 닦아주기
- 차가운 물이나 알코올 마사지❌ (혈관이 수축되어 오히려 체온이 올라갈 수 있음)
✅ 충분한 수분 섭취
- 미지근한 물, 이온 음료, 모유 또는 분유 자주 섭취
-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조금씩 자주 먹이기
✅ 조용한 환경 유지
- 너무 활동적으로 움직이면 체온이 더 올라갈 수 있음
- 조용한 환경에서 충분히 쉬게 하기
3.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
✅ 실내 온도 & 습도 조절
- 적정 실내 온도(22
24℃) & 습도(5060%) 유지
✅ 소화가 쉬운 음식 제공
- 열이 날 때는 기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미음, 죽, 수프 등 가볍게 소화되는 음식 제공
✅ 수면 환경 조성
- 과도한 이불 덮기는 금물! 가벼운 이불 사용
- 열이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통풍이 잘 되는 환경 유지
✅ 해열제 사용 시 주의사항
- 38.5℃ 이상이면 해열제(타이레놀, 이부프로펜 등) 복용 고려
- 의사 처방 없이 아스피린❌ (소아에서는 라이 증후군 위험)
- 약 복용 후에도 열이 계속 오르면 병원 방문
4.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
🆘 다음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 방문!
✅ 3개월 미만의 영아가 38℃ 이상의 열이 날 때
✅ **고열(40℃ 이상)**이 지속될 때
✅ 해열제를 먹였는데도 열이 계속 오를 때
✅ 경련(열성 경련)이 나타날 때
✅ 탈수 증상이 보일 때 (입이 마르고 소변량이 줄어들 때)
✅ 의식이 흐려지거나, 처져 있을 때
5. 열이 날 때 하면 안 되는 행동
❌ 찬물이나 얼음찜질 →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오히려 몸에서 더 열을 내려고 함
❌ 두껍게 옷 입히기 & 꽁꽁 싸매기 → 땀을 빼려고 너무 덥게 하면 열이 더 오름
❌ 강제로 음식을 먹이기 → 소화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무리한 음식 섭취는 부담
❌ 무조건 항생제 사용 → 감기 등 바이러스 감염에는 효과 없음
반응형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감기 달고 사는 아이? 면역력 키우는 최고의 방법 (1) | 2025.04.16 |
---|---|
아기 예방접종, 꼭 알아야 할 필수 체크리스트! (1) | 2025.04.15 |
집에서, 공원에서! 아이와 부모가 함께하는 운동 (0) | 2025.04.14 |
아이와 함께하는 사계절 집 꾸미기 아이디어 (1) | 2025.04.14 |
아이의 장난감 정리, 더 이상 스트레스 NO! 쉽고 빠른 정리법 (0) | 2025.04.13 |